기초화장품 분류 기준

2025. 4. 23. 00:18🌷 피부 메이크업 _ STUDY

기초화장품은 피부 관리의 기본 단계를 위한 제품으로, 주로 기능과 사용 순서에 따라 분류됩니다. 한국의 화장품법과 일반적인 뷰티 업계 기준을 바탕으로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:


1. 기능에 따른 분류


• 클렌징: 피부의 노폐물, 메이크업, 피지 제거
◦ 클렌징 오일/워터, 폼 클렌저, 클렌징 밤, 스크럽 등
• 각질 관리: 죽은 피부 세포 제거
◦ 필링 젤, 스크럽, 효소 클렌저, AHA/BHA 토너 등
• 보습: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유지
◦ 토너, 에센스, 로션, 크림, 수분 마스크 등
• 영양 공급: 피부에 영양 성분 제공
◦ 세럼, 앰플, 페이셜 오일 등
• 진정/재생: 자극 받은 피부 회복 및 재생
◦ 알로에 젤, 시카 크림, 수딩 젤 등
• 미백/주름 개선: 특정 기능성 성분 포함
◦ 나이아신아마이드, 레티놀, 비타민C 세럼 등
• 자외선 차단: 피부를 UV로부터 보호
◦ 선크림, 선스틱, 톤업 선크림 등


2. 사용 순서에 따른 분류


기초화장품은 스킨케어 루틴의 순서에 따라 적용됩니다(한국식 10단계 스킨케어 기준):
1 클렌징 (클렌징 오일/워터 → 폼 클렌저)
2 토너 (피부 결 정돈, 수분 공급)
3 에센스/세럼/앰플 (고농축 영양 성분 전달)
4 로션/크림 (보습 및 영양 막 형성)
5 아이크림 (눈가 보습 및 주름 관리)
6 마스크/팩 (집중 케어, 주 1~2회)
7 선크림 (마지막 단계, 낮에 사용)


3. 피부 타입에 따른 분류


• 지성 피부: 유분 조절, 가벼운 제형 (젤 타입 로션, 매티파잉 토너)
• 건성 피부: 고보습, 리치한 제형 (크림, 오일 기반)
• 복합성 피부: T존은 유분 조절, U존은 보습
• 민감성 피부: 저자극, 무향, 진정 성분 (시카, 판테놀)


4. 법적 분류 (한국 화장품법 기준)


• 일반 화장품: 기본적인 피부 관리 (토너, 로션, 크림 등)
• 기능성 화장품: 미백, 주름 개선,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입증된 제품
◦ 식약처 심사 필요 (예: 비타민C 세럼, 선크림)
참고
• 성분 기준: 소비자 선호에 따라 무향, 무알콜, 비건, 천연 성분 등으로 세분화.
• 계절/환경: 여름엔 가벼운 제형, 겨울엔 고보습 제품 선호.



728x90